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Inversion of Control)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가지는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IoC 이다. IoC(Inversion of Control)란 '제어의 역전'이다. 전통적인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보면 클래스는홀로 사용되어지지 않는다. 다른 클래스를 가지고 있거나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아 사용하는 등, 거의 모든 클래스가 has-a 관계나 is-a 관계를 가지고 있.. Java2EE Framework/Spring 2.0 2010.06.02
SiteMesh 2.4 프레임워크 적용 공통된 레이아웃(Layout)를 이용하여 개발할 때 레이아웃에 사용하는 것에 struts-Tiles나 velocity 등이 있다. 이것보다 더 사용이 간단한 레이아웃 프레임 워크가 Sitemesh 프레임워크이다. Sitemesh 프레임워크는 opensymphony 진영에서 만든 오픈 소스 웹 페이지 레이아웃 프레임워크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레이.. Java2EE Framework/sitemesh 2.4 2010.06.01
스프링2.0 - Light Weight 컨테이너 아키텍처 스프링의 장점인 light-weight 컨테이너 아키텍처에 대해 알아보자. 스프링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듈화이다.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패키지들은 모듈화 되어 있어, 서로의 작용의 최소화시켜서 동작한다. 따라서, 스프링을 구성하는 요소를 사용할 때 어떤 부분을 사용할지는 전적으로 개발자에게 .. Java2EE Framework/Spring 2.0 2010.06.01
Non EJB 개발 방식의 장단점 ■ Non EJB 개발 방식의 장점 추가적인 교육 없이 초보 개발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그램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이 없는 개발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개발 방식으로 초기 개발 속도가 빠르고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굳이 값비싼 EJB 컨테.. Java2EE Framework/Spring 2.0 2010.05.30
스트럿츠1.3 - 스트럿츠의 액션(컨트롤러) 종류 스트럿츠 설정 파일(struts-config.xml) 에 action 태그를 사용하여 등록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컨트롤러를 등록한다. <action path="/login" type="org.apache.struts.actions.LoginAction" name="loginForm" scope="request" parameter="/hr/login.jsp" validate="false" /> <action path="/login" type="org.apache.struts.actions.Log.. Java2EE Framework/Struts1.3 2010.05.29
스트럿츠1.3 - 컨트롤러 구현 방법 컨트롤러 컨포넌트 스트럿츠의 컨트롤러는 스트럿츠가 제공하는 가장 유연한 영역이다. 스트럿츠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요청 URL을 분석하여 해당 Action 클래스를 호출하고 Action 클래스는 필요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 후 결과 페이지로 포워드 시키는 역할을 한다. ※ 참고 스.. Java2EE Framework/Struts1.3 2010.05.29
스트럿츠의 구조 스트럿츠는 MVC 모델2방식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서블릿 컨트롤러이다. 스트럿츠의 컨트롤러는 ActionServlet 클래스가 관리한다. 스트럿츠의 동작구조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트럿츠 컨트롤러는 ActionServlet, RequestProcessor, Action, ActionForm 클래스가 있다. 웹 어.. Java2EE Framework/Struts1.3 2010.05.28
모델 영역 - POJO POJO는 마틴 파울러가 단순한 자바 객체에 도메인 로직을 넣어 사용하는 것이 여러가지 장점이 있는데도 왜 사람들이 평범한 자바 객체를 사용하기 꺼려하는지에 의문을 품고 해결 방법으로 그럴싸한 이름을 붙인 것이 POJO 이다. 일종의 DTO 또는 VO 를 좀 더 품격있게 이름을 붙여 .. Java2EE Framework/프레임워크 개념 2010.05.05
퍼시스턴스 영역의 패턴 DTO 와 DAO DTO(Data Transger OBject)와 DAO(Data Access Object)는 퍼시스턴스 영역에서 사용되는 자바빈을 뜻하면 특정 패턴을 통해 구현되는 자바빈입니다. DTO(Data Transfer Object) DTO는 VO(Value Object)로 바꿔 말할 수 있는데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자바빈즈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계층간의 컨트롤러,.. Java2EE Framework/프레임워크 개념 2010.05.05
계층화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 대부분의 중/대규모의 어플리케이션은 효율적인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해 계층화(layered)하여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계층화 아키텍처는 MVC으로 대표되는데 MVC 패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와 모델과는 독립적으로 뷰를 수정할 수 있다. 모델 컴포넌트는 뷰와 컨트롤러 컴포넌트로부터 데.. Java2EE Framework/프레임워크 개념 2010.05.05